전체 글 (1184) 썸네일형 리스트형 브랜드 반란을 꿈꾸다 ZAG, by Marty Neumeier 4.5 / 5 책을 펼침 아니 소유하는 것만으로도 인사이트를 받을 수 있다. 짧아서 명쾌하고 명쾌해서 효과적인 책이다. 책장에 꽂아만 두기에는 너무나 아까운 책.... 차별화된 브랜드의 구축이 21세기의 생존전략임을 잊지 마세요. 브랜드 반란을 꿈꾸다 카테고리 경제/경영 지은이 마티 뉴마이어 (21세기북스, 2007년) 상세보기 우리의 브랜드는 다른가? 차별화 Differentiation이라는 거창한 말이 있다. 단순히 '다름'만을 말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새로움'만을 말하는 것도 아니고 뭔가 심오한 뜻을 지닌 단어같다. 차별화라는 것은 현대의 경쟁의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중요한 무기이다. 특히 '브랜드'의 관점에서 차별화는 어쩌면 기업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이다. 마티 뉴마이어는 그의 전작인 에서.. 블로거를 위한 SEO: 블로그 제목 정하기 팁 지난 포스팅에서 블로그 검색최적화 SEO를 위한 제목정하는 팁/규칙에 대해서 간단히 적었습니다. 짧게 요약하면, 검색엔진에 최적화되는 것과 함께 블로그를 읽는 독자들에게도 최적화된 제목을 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팁으로 글자수를 10~20자 정도로 해서 한눈에 제목이 들어올 수 있으면 좋고, 제목은 글의 모든 내용을 포함/함축하면서 가능한 짧게/심플하게 핵심단어를 제시해야 한다고 적었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글의 컨텍스트를 알려줄 수 있는 태그를 제목에 함께 적는 것도 좋다고 했습니다. 오늘은 이런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내용이 아닌, 좀 더 실용적인 practical 팁을 몇 가지 다루겠습니다. 그리고, 지난 글에도 밝혔지만 본 글은 우수한 컨텐츠가 검색엔진에서 또는 사람들에게 외면당하는 것이 .. 다음검색을 통해서 보는 한국 검색사용자들의 검색패턴에 관한 간단한 통계 오늘은 간단한 통계 또는 그래프를 보여주기 위해서 글을 적습니다. 제가 다음 (Daum Communications Corp.)의 검색본부에서 일을 하고 있는 것은 여러번 밝혔습니다. 데이터마이닝팀에서 약 1년 반을 근무했고, 지금은 업무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지만 검색품질팀에서 반년정도 근무하고 있습니다. 주로하는 작업이 데이터를 처리해서, 랭킹요소발굴 및 랭킹개선 작업이라는 검색의 품질에 관련된 일들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검색창을 통해서 유입되는 다양한 검색키워드데이터 (또는 쿼리 데이터)라던가 클릭정보 등을 자주 분석하게 됩니다. 외국이 유수 인터넷 분석기관들 (닐슨, 히트와이즈, 컴스코어 등)은 주기적으로 검색과 관련된 다양한 통계자료를 공개하는 것이 내심 부러워서 항상 국내의 검색시.. 정보전달도구로서의 효과적인 블로깅 방법. (개인적으로 싫어하는 블로그 유형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우리가 접하는 뉴스의 95%정도가 올드미디어라 불리는 신문과 방송이라고 한다. 즉, 나머지 5%정도만이 (마이크로) 블로그나 SNS 등의 소셜미디어의 몫인 셈이다. 가끔 중대한 뉴스들이 트위터나 블로그를 통해서 먼저 전파되기 때문에 소셜미디어의 뉴스소스로의 지위를 높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 불필요한 서론이었고, 이 포스팅은 소셜미디어의 대표 맏형격인 블로그에 대한 얘기를 해보고 싶다. 정보의 원출처의 95%가 신문 방송 등의 올드미디어지만, 우리가 소비하는 컨텐츠의 95%가 올드미디어라는 말은 아니다. 사람에 따라 편차가 크겠지만, 블로그 등의 소셜미디어가 전체 정보 사용양 (시간 등)의 3~50% 정도는 차지할 것같다. 물론 더 많이 또는 더 적은 시간을 소셜미디어.. 야성적 충동 Animal Spirits, by George A. Akerlof & Robert J. Shiller 2 / 5 내가 굳이 이 책의 리뷰를 적을 이유가 있을지 모르겠다. 어떤 이들의 저자의 주장에 감동을 받았다고는 하지만, 나같은 경제에 문외한 이에게는 감흥이 없다. 저자가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하더라도, 감수 추천자들이 세계적인 석학이더라도 내 느낌을 만족시켜주지 못한다면 그런 지식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나름 의미가 있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그것을 내가 받아들이느냐의 문제는 나의 문제다. 야성적 충동 카테고리 경제/경영 지은이 조지 애커로프,로버트 쉴러 (랜덤하우스코리아, 2009년) 상세보기 야성적 충동 유사 이래로 (실은 아담 스미스 이후로) 많은 경제학자들의 등장해서 나름의 이론을 제시해왔다. 그들의 이론이 때론 특수한 조건이 갖춰진 상황에서 경제현상을 잘 설명하기도 하고, 때론 더 장기적인.. 혁신기업의 딜레마 The Innovator's Dilemma, by Clayton M. Christensen 4 / 5, 존속기술 sustainable technology와 파괴기술 disruptive technology는 기업의 성장과 진화의 쌍두마차다. 그러나 진화없는 성장의 결과는 죽음이다. 그래서 존속기술을 통한 몸집불리기와 함께 파괴기술을 통한 군살빼기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책에서는 나와있지 않지만, 기업의 역량을 8:2 수준으로 함께 투자해야 한다고 한다. 혁신기업의 딜레마 카테고리 경제/경영 지은이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세종서적, 2009년) 상세보기 성장할 것인가? 진화할 것인가? 파괴적 혁신 등의 경영관리 분야에 유명한 하버드비즈니스스쿨 Harvard Business School의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교수의 를 지금 읽게된 것은 나에게 큰 행운인 것같다. 현재의 삶에 조금은 만족.. 단상: 크리스챤과 크리스챤... 그럼 나는? 어떤 이들은 자신의 성공을 위해서 하나님을 이용한다. 이들의 특징은 스스로 크리스챤이라고 부른다. 때로는 참 부지런하기도 하다. 매주일 교회에 나가서 봉사활동도 열심히 하고 장로니 집사니 하는 직분도 가진 경우가 허다하다. 그런데 이들의 중심에는 항상 '나'가 존재한다. (적당한 예는 굳이 들지 않겠다. 그분이다.) 어떤이들은 태초부터 계획된 목적을 위해서 하나님께 이용당한다. 이들은 남들이 크리스챤이라고 부른다. 이들도 역시 교회 출석도 잘하고 봉사활동도 열성적으로 참여한다. 때론 그래서 직분을 받는 경우도 더러 있지만 이들은 그 직분이 자신의 옻을 입은 것이 아닌 양 불편해하기도 한다. 이들의 중심에는 '나'라는 개념 조차도 없다. 그런데 때론 나같이 어정쩡한 사람도 있다. 내게 주어진 사명도 외면한.. 블로거를 위한 SEO (검색엔진최적화)에 대한 몇 가지 생각... 오랫동안 적고 싶었던 주제의 글인데 기회가 되어서 간략하게 적어볼까 합니다. 아래의 포스팅은 SEO에 대한 대단한 전략 또는 노하우를 공개하려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회사에서 랭킹을 담당하면서 느낀/배운 점에 대해서 적으려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래의 내용은 다음 (Daum Communications)에서 운영중인 블로그랭킹과는 전혀 무관한 얘기임을 미리 밝힙니다. 물론, 다음검색엔진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다음검색에 편향된 결과일 수는 있습니다. SEO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SEO 기법보다도 컨텐츠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컨텐츠 자체의 품질이 좋지않고, 단순히 SEO 기법을 활용해서 검색 페이지에서 상단에 놀려놓는다고 하더라고 사용자들의 만족도는 떨어질 것이고, 이런 경우 블로그.. 이전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