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84) 썸네일형 리스트형 허영 위에 세워진 왕국, 소셜 Social on Vanity 긴 설명이 필요없니 현재 소셜이 대세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했는진 몰라도, 모든 (온라인) 서비스는 소셜로 통하고 있다. 단순히 친목도모를 위함 모임에서부터 소셜검색, 소셜게임, 소셜쇼핑/커멀스, 소셜추천 등등등... 모든 단어에 '문화'를 붙이면 말이 되었는데, 요즘은 모든 서비스에 '소셜'을 붙이기만 하면 되는 것같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난 소셜을 소설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소설, 즉 허구라는 거다. 그런 허구를 지금 '허영'이라고 표현하려고 한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밝히지만, 본 포스팅의 내용은 수능세대라면 모두 이해할 '일반화의 오류'에 빠져있다는 것을 금새 눈치 챌 것이다. 물론 모든/대부분의 이들이 내가 생각하는 그것에 공감을 한다면 내가 그 치명적인 일반화의 오류에 빠지지 않았을 수.. IP의 시대는 끝났다. Good-bye, IP. 오랜만에 블로깅을 해봅니다. 2~3주 전에 사내 야머에서 IP 기반의 위치정보를 얻는 것에 대해서 글을 적었고, 좀 더 생각을 하니 위치정보를 위해서 IP가 굳이 필요한가?에 대한 생각에까지 이르렀습니다. 그래서, 트위터에 IP의 시대는 끝났다라고 무성의한 트윗을 했습니다. 얼마나 자세히 그리고 정확히 적을지는 모르겠지만, 그 내용에 대해서 몇자 적어보려고 합니다. 우선, 이 글에서 말하는 IP는 지적재산인 Intellectual Property가 아니라, 인터넷 통신규약인 TCP/IP에서의 Internet Protocol을 말합니다. 좀 더 깊이 생각해보면, 어쩌면 오픈 소사이어티에서 지적재산의 시대도 종말을 고하고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본 글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말합니다. 그리고, 기술적인 측면에.. 블로그 이슈 선정 Issuing Issues 지금 알려진 비밀로 다음뷰 쪽의 작업도 하고 있습니다. 아직 서비스가 개편되기 전이라 자세히 말할 수는 없지만, 다음뷰에 송고되는 기사들을 분석해서 자동으로 이슈를 뽑아내고, 이슈에 맞는 뉴스들을 제공해주는 것입니다. 현재 운영자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는 다음뷰 메인화면의 상단에 노출되는 이슈들을 대체하는 작업이라고 보면 될 것같습니다. 물론, 깊이 들어가면 더 큰 작업의 일부이지만... 그리고, 오늘 구글뉴스 (미국) 의 개편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구글뉴스외에도 구글토픽스라는 실시간 이슈뉴스를 선정해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제가 지금 다음뷰에서 작업하는 내용이 넓게는 구글뉴스, 좁게는 구글토픽스와 거의 흡사하고 보면 됩니다. 물론, 현재 미디어다음에서도 관련기사를 자동으로 클러.. 검색의 미래는 정말 없는가? Known Unknown Future of Search 지난 여러 포스팅에서 검색의 미래나나 소셜검색 등에 대한 저의 짧은 생각들을 적었습니다. 특히 검색의 미래에 대한 포스팅에서 '검색은 미래가 아니다'라는 도발적인 선언을 했습니다. 현재 익숙한 검색행위가 완전히 사라진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지만, 검색 Googling이라는 조금 부자연스러운 검색패턴에 진화가 있을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그런 형태로 단순히 인터넷 포털들이 제공하는 문답형지식서비스에서부터 최근 소셜네트워킹을 이용한 지식서비스, 그리고 사용자의 (검색) 의도 intent 나 문맥 context를 미리 파악해서 정보를 제공하는 (또는 더 나아가 필요한 액션들을 취해주는) 그런 서비스들로 진화할 것으로 보았습니다. 물론 그런 환경에서도 현재의 검색행위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아무.. Bursts: The Hidden Pattern Eehind Everything We Do, by Albert-Laszlo Barabasi 4 / 5, "링크 Linked"를 읽었을 때만큼의 영감을 받지 못했다. 어쩌면, 번역서가 아니라 원본을 읽은 내 잘못이 더 클지도 모르겠다. 2003년도에 라는 책으로 우리 곁으로 홀연히 나타났던 노트르담대학의 물리학과 교수인 알베르트-라즐로 바라바시가 새로운 책 를 선보였습니다. 책의 부제에서 인간의 모든 행동은 예측가능하다라고 대담하게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의 말이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고 일단 말할 수 밖에 없습니다. 찰리 채플린이 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고 멀리서 보면 희극이라고 말했듯이, 인간의 행동도 개별 객체를 주목하면 예측가능성이 떨어지지만 군집을 보면 예측가능성이 높아지는 것같습니다. 단순하 확률수학이나 스토케스틱모델/프로세스에 대한 배경지식만 있다면 책을 읽는데는 전혀 문제가 .. 소셜검색 My Drawing of Social Search... (3) 제가 처음 '소셜검색 My Drawing of Social Search'라는 글을 적은지도 벌써 3개월이 지났습니다. 1편에서는 현재 여러 분야에서 말하는 소셜검색의 정의를 다루었고, 2편에서는 블로고스피어와 다음뷰를 중심으로 소셜그래프의 관계에 대한 제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2편에서 첨부한 그림을 통해서 모든 것을 파악할 수가 있지만, 제가 생각하기에 소셜 블로고스피어는 블로깅을 하는 글작성자, 작성된 글을 읽고 평가를 하는 글추천자, 그리고 양질의 글들을 소비하는 글소비자로 구성됩니다. 작성자, 추천자, 소비자를 별도의 객체로 볼 이유도 없고, 또 굳이 이들 사이의 (일반) 소셜릴레이션이 존재한다고 말할 이유도 없습니다. 지난 2편의 그림을 바탕으로, 제가 생각하는 소셜검색에서의 소셜랭킹모델에 대해서.. [제주오름] 사라봉 오늘 소개할 오름은 (구)제주시에 있는 사라봉입니다. 사라봉은 오름이라고 표현하기 보다는 체육공원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좋을 것같습니다. 아래의 위치로그를 확인하시면 바로 아시겠지만, 부산에서 배를 타고 제주항에 도착하면 앞에 보이는 높은 언덕이 사라봉입니다. 많이 알려진 다랑쉬오름이나 아부오름, 노꼬메오름 등의 대부분의 오름들이 시외곽에 위치해있지만, 사라봉은 (구)제주시내에 위치해있습니다. 그래서, 여느 오름처럼 자연상태의 등산로가 아니라, 아스팔트와 보도블럭으로 만들어진 등산로를 따라서 정상에 오를 수 있습니다. 정상까지 가는 길은 아스팔트로 된 조금 긴 코스와 보도블럭으로 된 짧은 코스가 있습니다. 긴코스라고 해도 걸어서 1~20분이면 정상에 올라갈 수가 있습니다. 앞서 체육공원에 가깝다고 말했는.. 2020 퓨처캐스트 FutureCast, by Robert J. Shapiro 4 / 5, 2020년의 세계정세에 대해서 정치, 경제, 문화, 환경, 군사 등의 다방면에 대한 예측과 시나리오를 전개하고 있다.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인간들의 오랜 꿈이지만 현실적으론 불가능하다. 그러나 다양한 시나리오를 만들어고 각 경우에 대한 다양한 대응책을 준비해두는 것은 필요하다. 미래학 또는 미래예측에 대한 최고의 도서라고는 말할 수 없으나, 현재 그리고 근미래에 대한 깊은 식견은 확인할 수 있다. 2020퓨처캐스트 카테고리 경제/경영 > 경제일반 > 경제전망 지은이 로버트 J. 샤피로 (랜덤하우스, 2010년) 상세보기 미래예측은 항상 흥분되는 주제다. 완벽한 예측이 가능하다면 흥미가 급감하겠지만, 때론 예측이 맞을 때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흥미롭다. 예측이 맞다는 .. 이전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