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SP

9년... 가만히 있는 것도 늘 도전이었다.

보름열흘 후면 다음을 거쳐 카카오에 입사한지 만 9년이 됩니다. 한두달 전부터 당일 아지트 (카카오 사내 게시판)에 올릴 글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다음 시절부터 3년 주기로 안식휴가가 나오는데, 다음 9년차는 2개월의 휴가가 나옵니다 (합병 후에 안식휴가 체계를 변경했지만, 기존 입사자에게는 선택권 있음). 6년차 1개월 휴가를 아직 사용하지 않았고, 미사용 작년 연차와 올해 연차를 모두 합치면 총 4개월의 시간을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해서 글을 적으려 했습니다. 선택지는… 1. 공부 2. 여행 3. 이직 4. 집필 5. 무념 6. 기타…

하지만 약 한달 전에 광고 노출과 관련된 로직을 개발하는 부서에 겸직하면서 휴가 계획은 또 잠정 보류했습니다. 2017년을 시작하면서 그동안 미뤄뒀던 딥러닝을 비롯해서 데이터 과학 알고리즘들을 다시 공부하기로 마음먹고 논문도 읽고 오픈소스도 다운받아서 설치, 실행해보고 있었습니다. 최근 몇 년동안은 늘 주말 이틀동안 돌아다니면서 사진을 찍었는데, 올해는 하루는 돌아다니고 하루는 공부하는데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겸직으로 잠시 이어오던 패턴이 바뀌었습니다. 범용의 데이터 관련 논문들은 다시 잠시 미뤄두고, 현업에 필요한 온라인 최적화나 트래픽 예측 등을 다룬 논문들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팀에서 필요한 Go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도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대학에 들어간 1996년에 C언어라는 걸 수업에서 배웠고 (C는 배웠다는 것만 기억하는 수준), 2000년을 전후로 Java를 공부했는데 10여년이 흘러서 새로운 언어를 또 공부하게 됐습니다. 중간에 대학원에서는 MatLab을, 다음 시절에는 SAS를 이용해서 데이터 분석 코드를 작성하기도 했고 필요에 따라서 펄, PHP, 파이썬 등의 코드도 수정해서 사용하기도 했지만, 랭귀지를 완전히 새로 공부하는 건 참 오랜만입니다. C를 배우면서 제일 어려웠던 — 여전히 이해와 활용의 한계를 넘지 못한 — 포인터가 Go에 그대로 있고, C 이후에 소개된 새로운 개념들이 복잡하게 썪여있어서 20대에 헤매던 것 이상을 40대에 다시 재현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한글책 한권에 의존해서 그냥 읽어나가는 수준이라 익숙치가 않지만 현업에 사용되는 코드도 리뷰하고 새로 짜다보면 어느 순간 또 익숙해지리라 믿을 뿐입니다.

데이터 마이닝팀에서 7년을 보내고 제주/판교 로케이션 문제가 겹쳐서 2년 전에 광고팀으로 소속을 옮겼습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더 정교한 타게팅 및 랭킹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계획으로 소속을 옮겼지만, 합병 이후의 조직 변경 및 전략 수정에 따른 혼돈의 시간을 보내면서 데이터를 보는 시간은 점점더 줄어들고 업무적 자존감은 바닥을 쳤습니다. 논문을 다시 읽은 것도 자존감을 회복하자는 것과 또 역량을 키우면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컸습니다. 개발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데이터 다루는 쪽으로 다시 돌아가리라는 생각을 계속 가지던 차에, 비즈추천셀에 결원이 발생해서 혹시 함께 해보지 않겠느냐는 연락을 받고 수락을 했습니다. 평소에 함께 일해보고 싶었던 친구가 있는 셀이라서 합류 결정을 쉽게 내렸는데, 이후에 알고보니 그 친구는 조만간 다른 회사로 떠난다고...

지금은 그 친구가 떠나기 전에 그의 지식과 경험을 전수받고 있습니다. 산업공학을 전공하면서 최적화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았지만 여전히 온라인 최적화 방법은 참 낯섭니다. OR 수업을 들으면서 LP를 공부했고 정상적인 고등학교 수학을 이수해서 미적분이나 확률통계를 다 공부해서 기초적인 것은 모두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SGD 류의 알고리즘을 익히려니 학생 때 난 뭘 배웠나라는 한숨만 나옵니다. 알고리즘을 소개한 논문을 읽을 때면 당장 내가 사용할 것도 아닌데라는 생각으로 자세한 이해는 매번 뒤로 미뤘는데 결국 그것들과 친해져야할 시간이 됐습니다. 강의를 듣거나 수식을 풀어줄 때만 머리에 잠시 스쳐갈 뿐 다시 논문을 집어들면 모든 것이 새롭습니다. FTRL 알고리즘으로 CTR을 예측하고 OWLQN 알고리즘으로 전환률을 예측하고 ARIMA로 트래픽량을 예측하고 또 새로운 과금식으로 자동입찰 로직을 만들고… 공부해야할 것과 새로 만들어야할 것들이 많지만, 어떤 면에서는 지금이 행복합니다. 내가 지금 잘하고 있나라는 고민을 잊도록 눈코 뜰 새 없이 일에 묻혀 시간을 보낼 때가 오히려 더 행복을 느낍니다. 이게 학습된 노예 근성일지라도…

작년 하반기부터 준비하던 프로젝트가 아직 진행중이어서 여전히 광고팀에 소속돼있습니다. 앞서 업무적 자존감이 바닥을 쳤다고 적었지만 광고에 소속된 지난 2년이 무의미하고 무가치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광고 비즈니스와 플랫폼, 즉 광고 도메인에 관한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습득했습니다. 그것이 저의 앞길에 어떤 도움을 줄지 아니면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지는 모르겠지만 광고를 배울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인터넷/모바일 회사에 들어왔다면 광고 업무는 언젠가 -- 보통 퇴사 전 마지막? -- 잠시라도 몸담아서 익힐 필요가 있습니다. 많은 회사들이 광고로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그들의 비즈니스 근간을 전혀 이해하지도 못하면서 서비스를 기획개발하겠다는 이들이 많습니다. 광고팀에 소속하기 전에는 저도 그런 부류였지만 이제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광고도 어느 정도 알게됐습니다. 비즈추천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있고 어떤 기여를 할지 지금은 모르겠지만 경험은 배신하지 않으리라 믿습니다. 물론 시간을 경험으로 바꾸는 것은 오롯이 저의 역할입니다.

작년 가을 쯤에 제주를 떠나서 새로운 모험을 하지 않을까?라는 나름의 계획이 또 1년 미뤄졌습니다. 제주를 떠난다는 것은 곧 회사를 떠난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는 선택입니다. 또 올해 가을 쯤에 제주를 떠나야겠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마지막이 아니었던 적이 없었습니다. 단지 더 이기적이고 더 모질지 못했을 뿐입니다. 최근 주변에서 많은 이들이 새로운 도전을 찾아서 회사를 떠나고 있습니다. 그럴 때면 매번 저는 남들보다 뒤쳐진 것이 아닌가라는 불안감을 느낍니다. 공부해야겠다고 결심한 것도 그런 맥락입니다. 발버둥쳐서 새로운 도전의 길에 들어선 것은 아니지만, 자반타반으로 어쨌든 도전의 길에, 아니 항상 도전의 길에 서있었습니다. 도전. 제 인생에서 참 낯선 단어지만 한편으로는 늘 함께 했던 단어입니다. 가만히 서 있다고 해서 그것이 도전이 아닌 적은 없었습니다.

입사할 때는 길면 5~6년을 이 회사를 다니지 않을까?라고 나름 예상했지만 벌써 9년을 꽉 채웠다. 회사 생활이 Array인줄 알았는데 지내고 보니 List였다. 6년을 보내면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3년 3년을 보내면 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4년/2년/4년을 보내면 대학과 학위까지 받는 그런 배열같은 삶에 익숙했는데, 회사에서의 삶은 정해진 시간이란 것이 큰 의미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끝이 없는 무한 리스트 (종신고용)의 시대도 아니고... 메모리를 미리 할당해두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한해씩 늘려가면서 연장하고 있다. 새로 더 할당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 있을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