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s&Op

독서 취향. I Read What I Have Read.

 요즘 글을 적는 게 뜸해졌다고 느끼는 순간 내 존재도 함께 사라졌다고 느낀다. 인터넷 서비스 관련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으니 그냥 가벼운 내 신변잡기에 대한 얘기를 해볼까 한다. 회사에서의 공식적인 내 업무 외에, 나의 개인 생활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독서이기에, 내가 어떤 식으로 책을 고르고 또 어떤 식으로 책을 읽는지에 대해서도 적어보는 게 재미있을 것같아서 글을 시작한다. 누가 이 글에 관심을 가지겠냐만은, 먼 훗날 내 삶을 되돌아보거나 또 누군가 내 삶을 보고 싶어하는 이가 생긴다면 그들을 위해서 지금의 작은 생각이나 느낌을 그저 남기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회사에 들어오기 전, 그러니깐 대학원 연구실에서 자유방임의 삶을 살 때는 나름 책을 많이 읽은 것같다. 절대 독서량인 많았지는 않지만 그래도 꾸준히 매달 5~6권의 책을 읽었다. 취직 후에는 적어도 낮시간에는 (점심식사시간 등 제외) 공식적으로 책을 읽을 수 없기에 독서량이 많이 줄어서, 한달에 3~4권 정도 밖에 읽지 않는 것같다. 내가 원래부터 책을 많이 읽은 것은 아니다. 20대 중반을 지날 때까지 읽은 책의 양은 1년에 2~3권을 넘지 못했던 것같다. 본격적으로 책을 읽기 시작한 것은 2005년부터다. 다른 글에서도 밝혔지만, 2003년 여름부터 2005년 1월 사이에 난 미국의 NIST에서 연구원으로 있었다. 그 기간 중에 문득 스스로 결심한 것이 바로 독서였다. 내가 한국에 돌아가면 책을 좀 많이 읽어야겠다라는 결심을 2004년 어느날 하게 되었다. 그래서, 2005년에 귀국해서 그 후로 줄곳 책을 읽기 시작했다. 중간에 1~2주 정도의 공백기를 가진 적은 있겠으나, 다른 세상의 더 재미있는 일들에 빠져서 책을 놓지는 않았다. 2005년 이전에는 고등학교 1학년 때 책을 나름 좀 많이 읽었다. 지금 기준으로는 많지는 않았으나 고1 때 약 20권의 책을 읽었던 것같다. 그 나머지 기간 동안은 앞서 말했듯이 1년에 2~3권을 넘긴 적이 거의 없었다. (고1때 왜 책을 많이 읽었느냐 하면... 숨길 이유는 없지만, 그래도 비밀이다. 공부 때문에 읽은 것은 아니다.)

 어릴 적 TV시리즈 (지금 말로 '미드') 맥가이버를 보면서 장래희망을 물리학자로 잡았다. 물론 그 전부터 과학자라는 막연한 꿈을 가졌지만, 그것이 물리학자로 고정된 것은 맥가이버의 영향이다. 그 생각이 고3때까지 이어졌지만, 막상 대학과 학과를 선택하는 시기가니 이상보다는 현실이 보였고, 그렇게 해서 산업공학을 선택했다. 오랜 기억을 굳이 꺼집어 내는 이유는 나의 기본 취향이 이과 또는 공돌이라는 거다. 그래서 내가 읽는 많은 책들이 일반 시나 소설, 에세이보다는 기술서적들이다. 딱딱한 기술서적은 아니고, 그냥 가볍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기술분야의 책들을 많이 읽는다. 특히 인터넷 및 최신 트렌드에 관련된 책들을 많이 읽는다. 그런데, 그런 책들 중에서 '자기개발'식의 책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처음부터 자기개발 책들을 좋아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2005/6년도에는 시중에 나와있는 거의 모든 자기개발서적들을 두루섭려했던 적이 있다. 대표적으로 스펜스 존스와 켄 블렌차드의 책들은 거의 빼놓지 않고 읽었다. 그런데 그런 책들을 읽어면 읽을수록 그런 책들의 차이점을 못 느끼게 되었기에 더 이상 읽지 않게 되었다. 그런데, 기술관련 책들 중에서 자기개발식의 책도 함께 흥미를 잃었는 것같다. 

 인터넷 트렌드 외에는 주로 '경제/경영' 분야의 책들을 주로 본다. 그런데, 경영 쪽보다는 '경제' 쪽 책을 더 선호한다. 경영은 그저 기법만을 다루는 것처럼 보이지만, 경제는 더 큰 펀더먼탈을 다룬다는 느낌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산업공학에서는 경영을 더 중요시하는데, 나는 경영보다는 경제가 더 재미있는 것같다. 그것도 미시경제보다는 거시경제에 더 큰 관심을 가진다. 학교에 있을 때도 경제에 관심을 가졌지만, 더욱이 2008년도의 경제위기 때문에 세계경제에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된 것같다. 그런데, 경제/경영 분야의 책들 중에서 '금융'관련 책은 또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경제위기 때문에 금융과련 책들도 많이 읽어봤지만, 왠지 모르게 나와는 상관없는 분야의 내용을 다룬다는 이질감을 느꼈다. 그래도, 계속된 금융위기 때문에 함께 쏟아진 금융위기 과련 책들을 꾸준히 읽었지만, 여전히 큰 흥미를 느끼지는 못한다.

 그리고, 많이 읽었던/는 분야의 책은 '미래학'과 관련된 책들이다. 미래예측이니 트렌드를 읽는 기술이니 하는 책들을 많이 본다. 인간이 사람의 내면을 더 깊게 알고 싶고, 또 미래를 더 알고 싶은 것은 어쩔 수 없는 본능이 아니겠는가? 그냥 그런 본능에 충실할 뿐이다. 많이 읽어으면서, 나름 이 저자는 참 글을 잘 적고 나름 개연성이 있어 보인다 또는 반대로 이런 일을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 것같다는 식의 저자의 능력까지 나름 꿰뚫어보는 능력을 얻었다면 나름 수확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하드 미래예측에 관한 책은 거의 못 읽은것같다. 일반 트렌드 과련 책도 최근에 괜찮은 것을 보지 못해서 읽은지가 오래다.

 가끔 수학이나 물리/과학과 관련된 일반상식 수준의 책들도 재미있게 읽는다. 대표적으로 '리만가설'이나 '소수의 음악'은 일반인들에게도 수학에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책이다. 비록 어릴 적 꿈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여전히 그 꿈 속에 살아간다는 그런 느낌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좋다. 물론, 수학이나 물리를 내 삶의 영역으로 선택하지 않았던 것이 참 다행이다라는 생각도 가진다. 나는 그냥 인간이지, 천재는 아니다라는 걸 그런 책을 통해서 깨닫게 된 것도 나름 수확이라면 수확이다.

 그리고 또 어떤 책을 주로 볼까? '창의성'이나 '디자인' '브랜드' 등과 관련된 책도 많이 보는 것같다. 그런 책들을 읽은 후에 모든 것을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지만, 그런 책들을 읽으면 많은 인사이트를 얻게 된다. 그래서,쉽게 버릴 수가 없는 것같다. '집단지성'이나 '네트워크'와 관련된 책도 나의 주종목이다. (이건 인터넷 트렌드로 봐야하나?) 그리고, 한때 프리젠테이션에 관련된 책도 많이 읽었다. 지금은 나름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정리가 이루졌기 때문에 많이 읽지는 않지만...

 그리고, 빠질 수가 없는 것이 기독교 관련 서적이다. 몇몇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서적들도 많이 있지만, 내가 주로 보는 책은 조나단 에드워드 목사님의 설교집이나 마틴로이드 존스 목사님의 설교집을 많이 봤다. 물론 에드워드 목사님의 설교는 너무 어렵다. 그래서 진도가 잘 안 나간다. 로이드 존스 목사님의 설교집은 매일 2~30페이지를 읽어나가면 영혼이 맑아지고 내 삶의 잘못을 자각하게 되고... 그렇다.

 시는 산문보다 어렵기 때문에 시집을 읽지 않는다. 그러나, 소설이나 에세이를 읽지 않는 이유는 그런 장르가 싫기 때문이 아니라, 위에서 말한 다른 장르의 읽을 책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굳이 내 시간을 쪼개어 소설이나 에세이에 투자할 여건이 안 되기 때문이다. 그리나, 가끔 인문이나 철학 서적도 가끔 순간 혹해서 구입하기는 하는데, 매번 읽으면서 어렵다는 걸 절감하기에 다시는 이런 책을 사지 않는다고 다짐하지만, 다음에 또 다른 제목이나 누군가의 추천에 혹해서 또 구입하고 후회하고를 반복한다. 물론 그렇게 어렵게 읽은 책은 나중에 내용은 기억나지 않는다. 때로은 이 책을 내가 읽었었나?라는 기억도 가물해지는 경우도 있다. 어쩌면 기억을 못해서가 아니라 나이가 들어서 까먹었는지도 모르겠다.

 인터넷을 돌아다니거나 아니면 책소개 페이지 등에서 위의 주제와 관련된 책들을 보면, 위시리스트에 적어놨다가 1~2달에 한번씩 대량으로 구입하게 된다. 가끔 진짜 읽고 싶은 책이 생기면 바로 구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위시리스트에 올려놓고 한꺼번에 구입한다. 그래서, 한번에 10권 정도를 Yes24에서 구입하면 로열회원으로 등업되는데, 막상 그 권리를 사용할 수 있는 다음달에는 읽을 책이 쌓여서 구입을 미루게 되고 또 다시 일반회원으로 등급이 내려가면 다시 대량으로 구입하게 되는 이상한 사이클을 그리게 된다.

 예전에는 한권의 책을 읽기 시작하면 끝까지 읽어내려갔다. 그런데, 최근에는 하루에 3~4권의 책을 동시에 읽어나간다. 한권의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으면 책에 더욱 집중해서 내용을 파악하는데 더 쉽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도 현실적인 여러 이유로 3~4권의 책을 멀티태스킹으로 읽어나가게 된다. 가장 큰 현실적인 이유는 내 생황공간이 집과 회사, 그리고 자동차로 나뉜다는 점이다. 즉, 회사에는 회사에 비치된 책을 보고 집에서는 또 집에 있는 책을 읽기 때문에 적어도 하루에 2권의 다른 책을 읽을 수 밖에 없다. 또 다른 이유로는 책종류와 관련되어있다. 특히, 성경을 포함해서 기독서적은 매일 꾸준히 읽기를 희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에드워즈 목사님의 책처럼 어려운 기독/교리서적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나가는 것은 여간 곤혹스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종류의 책을 한 챕터 읽으면, 머리를 쉬게하는 겸해서 조금 가벼운 다른 책을 또 한챕터 읽어나가는 식이다. 여러 권의 책을 동시에 읽으면, 어려운 책은 매일 조금씩 조금씩 꾸준히 읽어나갈 수 있으면서, 또 재미있는 책을 함께 읽으므로써 독서에 대한 흥미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여러 권의 책을 동시에 읽었기 때문에 특정 책에 대한 내용이 완전히 정립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나중에 특정한 주제/내용에 대해서 어떤 책에서 읽었는지 기억을 되살리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물론,그런 경우라면 쿨하게 그냥 무시한다.

 예전에도 글을 적었지만, 아침에 읽어나서 영어성경 한 장을 읽고 출근을 한다. 그리고, 회사에서 점심시간이나 저녁시간에 짬이 나면 책상 위에 있는 책을 읽는다. 회사에서는 그나마 가벼운 책을 주로 읽는다. 중간중간에 인터럽을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어렵고 지루한 책을 읽으면 챕터 중간에 끊기가 곤혹스럽기 때문이다. 그래서, 언제든지 책을 덮었다 펼 수 있는 책을 주로 회사에서 읽는다. 가능하면 챕터나 단락단위로 끊어서 읽기는 하지만.. 그리고 가끔은 장시간의 프로세싱이 필요한 분석작업을 실행시켜놓고, 책을 펼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그 시간에는 인터넷 서핑을 더 많이 한다. 그렇게 퇴근을 한 후에는 바로 한글성경을 펼쳐서 5장 정도를 읽고, 기독서적을 한 챕터정도 읽는다. 성경공부가 끝나면, 조금 두껍고 무거운 주제의 글을 한챕터 (보통 2~30페이지 정도)를 읽고, 나머지는 또 가벼운 주제의 책을 읽는다. 물론, 아주 재미있는 TV 프로그램을 시청해야할 때는 퇴근 후의 독서패턴이 바뀐다.

 전에는 500페이지 이상의 두꺼운 책을 좋아했다. 책값도 비싼데, 그래도 두꺼운 책이 그나마 책값을 하는 것같은 느낌도 있지만, 보통꺼운 책이 내용을 더 심도 깊고 자세하게 다루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최근에 몇몇 어려운 주제의 두꺼운 책을 보면서 후회하게 된 적도 있다. 주제는 어려워서 잘 읽혀지지는 않는데, 책도 두꺼워서 빨리 헤치울 수도 없어서 몇달을 끌어가면서 완독한 책들이 몇권 생기면서부터, 아예 얇은 책이라면 미친척하고 하루이틀 시간을 투자해서 완독해버리고 다른 책으로 넘어가면 될 것을..이라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지금은 책의 두께에 대한 호불호는 없어졌다. 그래도, 재미있고 심도깊은 내용이 필요한 책이라면 두꺼운 책이 더 좋긴하다. 뉴욕타임스의 토마스 프리드먼의 '렉서스와 올리브나무'나 '세계는 평평하다' 정도의 책이라면 가볍게 읽을 수 있으니 두꺼울수록 책값을 하는 것같아서 좋다. 앞서 말한 '리만가설'이나 '소수의 음악'도 재미있고 쉽게 읽을 수 있었으니... 그런데, 많이 읽었어도 별로 읽은 것같지 않은 책들은 그 두께만큼 한숨이 먼저 나오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더 내 독서 취향이나 습관에 대해서 적을 내용이 있을까? 더 생각나면 또 글을 적으면 되니, 오늘은 이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