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s&Op

에고, Eco... 한국에서 인터넷 에코 시스템 (EcoSystem, 생태계)을 만들 수 있을까?

 지난 밤에 트위터에서 어떤 분이 DM으로 아래의 메시지를 보내주셨습니다.
현재 서비스 중인 네이버그린pc는 외부에서 조달했는데 1억 조금 더 주었다고 들었습니다. 이딴식의 에코는 좀 곤란하지 않을까 합니다.
오래 전부터 인터넷 에코시스템에 관심이 많았고, 지금 다니고 있는 '다음'도 단순히 인터넷 포털이 아닌 인터넷 에코시스템 (즉, 다음에코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요지의 말을 자주 했던 터라, 예정에도 없던 블로깅을 하게 됩니다. 지금 컨디션이 별로 좋지가 못해서 글의 논리가 제대로 잡힐지 걱정이지만, 당장 생각나는 몇 가지로 글을 시작, 마무리할 겁니다.

 지금은 허지부지되었지만, 작년 이맘때 풍운의 꿈을 가지고 Sustainable Web EcoSystem (SubEco)을 조성해보겠다고 새로운 블로그를 개설한 적이 있습니다. 그 블로그에서 지속가능한 웹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 자발성 Spontaneity 2. 민주성 Democracy 3. 다양성 Variety 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글을 적었습니다. 첫째, 자발성이란 웹생태계 플랫폼은 특정 회사나 단체가 임의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위키피디아 등, 국내에서는 다음이나 네이버 등)로 조성하더도, 그 플랫폼 위에 생태계를 구성하는 더 작은 단체나 개인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서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것을 뜻하는 것입니다. 정부나 특정 단체의 마스트플랜에 따라서 생태계의 구성요소가 짜맞혀지는 것이 아니라, 그 생태계에서 살아갈 개인들의 자신에게 필요한 기능들을 추가하고 구성하는 그런 것을 말합니다. 둘째, 민주성이란 이런 웹생태계를 구성하는 모든 단체 및 개인들에게 저작 및 소비 등의 접근에 평등을 보장하고 또 그들의 순수한 기여를 보장해줘야 한다는 점이다. 민주적 시스템에 의해서 때론 힘 (네트워크에서의 영향력 및 평판 등)의 균형을 상실할 수 있으나, 소위 말하는 표현의 자유와 같이 모든 Peer들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생태계에 기여하는 환경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다양성의 경우, 자연생태계의 건전성은 종의 다양성으로 판단이 되듯이 웹생태계도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들과 참여자들로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 각 시대나 지역에 따라 주요 트렌드 또는 유행이라는 것이 있을 수 있으나 모든 시대나 환경에서 획일화되는 것만큼 웹생태계를 위험에 빠뜨리는 것이 없을 것이다. 참여자들의 다양성도 보장되어야 하고, 참여 방법의 다양성도 보장되어야 하고,.. 등등의 크고 작은 다양한 서비스들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그런 시스템/생태계가 갖춰져야지만이 지속가능한 웹생태계 SubEco가 만들어진다. 물론, 자연생태계가 그러하듯이 웹생태계에서도 서비스나 참여자들이 시간을 두고 꾸준히 진화해나가고 때론 적자생존으로 영향력 또는 평판이 높은 서비스나 참여자들이 선두로 치고나가고,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적자생존이나 퇴화의 과정도 대자연 (Mother Nature)의 순리에 맞게 진화, 변화해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역으로 이런 웹생태계를 파괴하는 속성으로는 자발성이 무시된 강요에 의한 환경조성, 민주성이 무시된 독단과 독재, 그리고 다양성이 무시된 획일화 등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같다. 특히, 획익화에서 외부 세력에 의한 획일화도 문제가 되지만, 생태계 내에서 (어떤 조건에서) 합의된 획일화도 문제가 될 수가 있다. (즉, 경제학적 논리에 의해서 1등 서비스로 사람들이 몰리는 현상 등)

 이런 측면에서 한국의 웹생태계를 진단하기에 앞서, 외국의 사례를 좀 들어보자. 개인적으로 웹생태계가 가장 잘 이루어진 경우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로 보고 있다. 페이스북이라는 소셜플랫폼 위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얻혀지고 소비되는 모습이나, 140자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몰리고 또 그들의 필요에 따라서 부가서비스들이 붙어나가고 어플리케이션들이 지원을 하는 모습에서 적어도 페이스북생태계와 트위터생태계가 만들어지는 모습을 보았다. 물론, 최근에 이슈가 되는 개인정보 Privacy 문제나 피슁 등의 사이버공격, 특정인/단체를 향한 집단행동 등과 같은 부작용도 목격이 되고 있지만, 전체의 맥락/흐름에서는 크게 문제가 될 것같지가 않다. 아니, 그 생태계 내에서 자정능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 측면에서, 건전한 지속가능한 웹생태계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자정할 수 있는 능력 (자정능력)도 갖춰져야 한다. 이런 자정능력도 앞서 말한 자발성, 민주성, 다양성의 기반 위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초기의 위키피디아도 건전한 웹생태계를 구성했다고 볼 수가 있다. 그러나, 위키피디아의 발전에서도 몇몇 부작용이 발생했던 점들은 주지의 사실이고, 또 여러 자정 현상도 있었다. 이에 반해서 MS, 구글, 또는 마이스페이스 등이 나름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것은 자발적인 생태계가 아니라 '돈'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바탕으로 인위적인 생태계를 만들려 했기 때문에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 구글은 검색 및 검색광고라는 초유의 무기를 가지고 있지만, 연이은 소셜 및 기타 서비스들의 실패를 말하는 것입니다. (구글 자체의 실패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Knol, Orkut, 구글비디오, 웹이브 (?) 등의 서비스가 허지부지된 것을 상기하기 바랍니다.)

 한국은 어떤가? 인터넷의 초기에는 모두가 힘이 미약했기에 단정지을 수는 없었지만, 현재는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의 소위 포털 3강에 의해서 한국의 인터넷이 좌지우지되고 있다. 특히, 1등 기업인 네이버의 경우는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많은 혜택도 돌아갔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들이 많이 보고가 되고 있다. 글의 시작에 보여드렸던, 트위터의 DM이 일례는 극히 겉으로 드러난 경우에 해당된다고 봅니다. 하나의 공룡기업이 등장해서 그 아래에 있는 중소의 하청기업들의 등살을 파먹고 살아가는 모습이 현재 한국의 인터넷, 아니 산업 전반의 모습입니다. (인터넷 밖으로 눈을 돌리면 S기업으로 상징되는 사회 부조리.. 설명생략) 그런 사회의 부조리가 대한민국 인터넷 생태계에도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런 왜곡된 생태계가 정상적인 생태계인양 보여지고 있습니다. (내부인으로써 '다음'이라는 회사 또는 서비스 및 전략에 대해서 부정적인 글은 못 적는다는 점은 양해 바랍니다. N에 대한 공격은 비슷하게 D에 대한 공격이라고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작년부터 N에서 밀고 있는 다양한 캐스트들... 겉으로 보기에는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사용자들에게 힘을 나눠주는 것처럼 보입니다. '우리는 그냥 플랫폼을 제공할테니 와서 마음껏 노십시오'라는 선전을 했지만, 그들이 처음에 기획했던 그리고 우리들이 기대했던 목표에는 아직도 한참 미치지 못했다고 평가하고 싶습니다. (물론, 돈이 있고 저력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전진하고 진화하겠지만... 현재의 모습만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생태계에서 큰 힘을 가진 객체가 등장하면 다른 힘없는 객체들은 퇴락의 길로 들어섭니다. 그런 중소개체들이 몰락하고 나면 대형 공룡도 궁극에는 함께 멸종해버리는 일이 발생합니다. 지금의 한국 인터넷 생태계도 이와 비슷하게, 공룡과 다른 개체들의 상생의 협력이 아닌 공룡의 일방적인 독주의 형태로 보여집니다. 여담이지만, 덩치가 큰 공룡 (보자기)를 이길 수 있는 민첩하게 움직이고 뾰족한 무기를 가진 가위라는 것을 말해주고 싶습니다. 지금은 보자기의 위력에 눌려있지만, 그럴 수록 더욱 날을 갈고 스피드를 유지하다보면 더 건전한 생태계 참여자로 성장할 것입니다.

 잠시, (글의 논지와는 맞지 않습니다.) 애플과 구글에 대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애플을 향한 찬사만큼이나 부정적인 견해가 큽니다. 빛이 강할수록 어둠이 짙다는 걸 잘 보여주는 회사가 애플입니다. 그런데, (일반 사용자들의 입장에서) 구글을 향한 찬사들만 보입니다. 자세한 글을 적지는 못하겠지만, 여기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구글이 생각하는 만큼 그렇게 선한 기업은 아닙니다. 적어도, 경제적인 관점에서 또는 기업의 존재 이유라는 관점에서... 기업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합니다. 이유추구에 합당한 전략을 보여줄 뿐입니다. 그래서, 때론 온화한 키다리아저씨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때론 폭군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키다리아저씨 전략이 이유추구에 도움이 되면 키다리아저씨가 되고, 폭군이 이유추구에 도움이 되면 폭군이 됩니다. 지금 많은 아니 모든 기업들 (애플, 구글, MS, 어도비, 등등)이 모두 같습니다. 그리고, 건전한 생태계 조성이라는 측면에서, 애플의 독주도 건전치가 않고 구글의 독주도 건전치가 않습니다.

 이정도로 글을 끝내겠습니다. 결론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웹생태계는 몇몇 힘있는 기업들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런 생태계에서 살아가는 모든 구성원 - 개인 (우리) -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가꾸어지고 진화되는 것입니다. 기업의 횡포가 심하더라도 참여하고 사용하는 우리들이 바른 의식을 갖고 사용하고 또는 불매함으로써 건전한 대한민국의 웹생태계가 만들어질 것입니다.

 WEB is ON your HAN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