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s&Op

천재와 교육

한 시대를 풍미했던 천재 지휘자 헤르베르트 본 카라얀. 그의 평전을 읽으면서 '카라얀이 만약 음악/지휘를 하지 않았다면 그가 천재로 인정받았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어릴 적에 기계 메카닉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어쩌면 엔지니어로 성공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엔지니어로 천재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을까? 만약 물리학이나 수학 또는 경제학 등의 전혀 다른 분야로 진출했다면 그는 그 분야의 천재가 됐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어쩌면 카라얀은 운좋게도 지휘/음악을 시작했기 때문에 그 분야에서 천재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고 현재까지 음악에 문외한 나조차도 알고 있는 지휘자로 역사에 이름을 남겼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한다. (참고. 카라얀 평전 1, 카라얀 평전 2)

그렇다면 '모든 사람이 자신에게 적합한 분야를 선택해서 공부하고 노력한다면 천재적 기질을 발휘할 수 있지 않았을까?' 또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분야가 아닌 엉뚱한 곳에서 재능을 썪히면서 평범하게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페이스북에 짧게 "모든 사람은 천재다. 만약 자신의 재능을 꽃피울 최적의 분야를 찾는다면… 그래서 대부분은 바보다."라는 글을 남겼다.

카라얀 평전 초반부에 마리아 칼라스의 명언이 한 줄 나온다. "좋은 교사와 위대한 교사의 차이: 좋은 교사는 제자의 자질을 최고로 끌어올릴 줄 알고, 위대한 교사는 제자의 장래를 내다볼 줄 안다." 우리의 인생에서 우리의 재능을 발견해주고 그 재능을 극대화시켜주고 또 그걸 통해서 미래를 개척/변화시키는 것을 도와주는 그런 부모/스승/멘토/지도자를 만난다면 우리 모두가 천재가 되지 않을까? 적어도 현재처럼 자신의 소질과 흥미와는 무관하게 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책에만 파묻혀서 지내지는 않아도 되고, 그래서 더 다양한 사람들이 자신의 재능을 발휘해서 더 재미있고 흥미로운 세상이 만들어지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다. 부모들은 자기 자식들이 어릴 때 한 작은 행동이나 말을 보면서 '천재가 아닐까?'라는 착각에 쉽게 빠지고, 자식들이 진짜 흥미를 느끼고 또 재능을 보이는 것이 아닌 (부모의) 착각 속의 분야로 자식들을 내모는 경우를 자주 본다. 대부분은 안 좋게 끝난다. 자식들의 실제 재능을 발견하기 위해서 이것저것 모두 해보게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렇다고 무진장 기다릴 수도 없는 노릇이고… 사람이 천재가 되는 길은 참 험하고 멀다.

흔히들 우리가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 적어도 3가지 기준으로 그 일을 평가해본다. 내가 진짜로 좋아하는 일인가? 내가 진짜로 잘할 수 있는 일인가? 내가 진짜로 해야만 하는 일인가? 즉, 흥미와 관심 Love to, 재능과 소질 Able to, 그리고 당위 Have to에 대한 자문이다. 당연히 내가 좋아하면서도 잘 하는 일을 해야만 할 때, 가장 퍼포먼스도 잘 나고 어쩌면 그 일에 천재적 재능을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어느 것 하나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우리는 평범하게 살아간다. 때로는 자신의 관심과 재능과는 전혀 무관한 분야에서 자기 만족에 빠지는 경우도 있고, 더 비참한 최후를 맞는 경우도 종종 본다.

어릴 적에는 부모나 주변의 강요에 의해서 싫든 좋든 많은 것을 해본다. 운좋으면 자신의 흥미와 재능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어린이에게 시대적 소명이나 당위성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다.) 그런 경우라면 그것을 즐기며 갈고 닦으면 그 분야에 전문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말콤 그래드웰이 <아웃라이어>에서 말한 1만시간의 법칙을 지킨다면 천재까지는 아니더라도 평균 이상의 전문가로는 명성을 쌓을 수 있을 거다. 그런데 운좋게 발견한 그 분야가 진짜로 내가 제일 좋아하는 것이고 제일 잘 할 수 있는 것일까?라는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괜히 적당히 좋은 분야에 올인하느라 진짜 천재적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쳐버리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도 해본다. 조금 다른 뉘앙스지만 자신의 재능과 흥미를 발견할 때도 -- 짐 콜린스가 말한 -- '좋은 것이 위대한 것의 적'이 될 수도 있다. (참고,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사람들은 어느 정도 나이를 먹으면서 스스로 꿈을 꾸게 된다. 보통 그 꿈이란 게 자기가 좋아하는 일일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요즘 청소년들은 제대로 된 꿈을 꿀 기회조차도 박탈당하는 것같다. 나만 하더라도 어릴 적에는 막연한 장래희망이 있었지만, 10대와 20대 초반을 보내면서 특별한 목적의식은 없었던 것같다. 짜여진 획일적인 커리큘럼에 따라서 교육받아지는 우민 백성들이 만들어지는 사이에, 진짜 소중한 우리의 꿈과 개성과 재능은 늘 뒷전으로 밀리기만 한다. 최근에는 그런 몰개성 교육의 무용론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게 되고, 미래를 위해서 새로운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단순히 새로운 커리큘럼을 준비하는 것은 새로운 방식의 바보만 양산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교육 자체가 없어져야할지도 모르겠다. 2차산업의 역군을 키우기 위해서 갖춰졌던 현대 교육과 작별을 고할 때가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놀거리와 생각할거리를 제공해서, 스스로 자신의 꿈과 재능을 발견할 기회를 줘야 한다. 이 대목에서 앨빈 토플러의 충고를 새겨들어야 한다. 그는 한국의 학생들은 10년 후에 존재하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하루에 몇 시간씩 공부한다고 지적했다. 기성세대가 만든 과거가 아닌 자신이 설계하는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다행히도 소위 말하는 머리에 피가 마르는 시기가 되면 성인들은 스스로 자신의 장래를 걱정하면서 자신의 흥미와 소질을 재평가해서 미래의 직업을 선택한다. 우민화로 인해서 그 시기가 너무 늦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다. 노파심에서 말하지만, 여기서 좋아하는 것은 유희적/소비적 취미를 뜻하지는 않는다. 생산적 취미와는 어느 정도 맞다.

개인의 개성 (흥미와 재능)에 더해서, 당위성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해 봐야 한다. 무조건 좋아하고 잘하는 일이라고 해서 그 일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법과 문화, 규범의 테두리 내에서 불가능한 것들도 많다. 그런 하드한 제약조건이 아니더라도, 특정 시대가 요구하는 시대정신 또는 소명이 있다. 그런 시대정신과 소명에 맞는 일이 무엇인가?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다 같이 함께 살아가는 사회에서 유아독존이 될 수가 없다. 사회의 구성원이라면 모두 그 사회로부터 받은 것을 되갚아줘야 한다. 즉, 사회기여 contribution가 필요하다. 내가 이 일을 함으로써 이 사회는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 또는 역으로 어떤 해를 입을 것인가?를 함께 고민하면서 일을 선택해야 한다. 우려되는 점은 이 사회의 저소득, 하층민, 소외계층의 경우 사회로부터 받는 것이 전혀 없다는 그런 좌절감을 느낀다. 최근 대한민국의 양극화/불평등/불확실성 상황을 보면 그 심각성이 더욱 크게 느껴진다. 그런 인식을 갖는 사람이라면 역사회기여의 행위를 자행할 수도 있다. 실제 최근 자주 발생하는 묻지마 사건들이 그런 부작용의 일종이다. 개인이 사회에 느끼는 당위성은 사회가 그 개인에게 공평하고 공정한 기회를 줄 때만이 생겨난다. 개인의 사회 당위성은 사회 (국가)의 개인에 대한 공정성에서 나온다.

마지막으로 카라얀 평전에 나오는 글귀 (챕터제목) 하나로 글을 마친다.

천재란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 노력이다.

[업데이트 20130114] 주말에 안타까운 뉴스가 있어서 업데이트 합니다. 13세의 나이로 RSS (Rich Site Summary, formerly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표준화에 참여했고 Creative Commons에도 참여했고 Reddit도 공동창업했던 Aaron Swartz의 자살소식입니다.  (참고. Prosecutor as bully, by L. Ressig) 그냥 유명 연예인의 죽음은 별로 충격적이지 않은데, 이런 기술분야의 천재들의 뉴스에는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평소에 이런 천재들이 더 많이/오래 사회에 공헌/기여하는 것을 원했던 사람으로써 그의 요절은 참으로 충격적이고 안타깝습니다. 앞서 천재는 적성과 재능과 당위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는데, 그와 함께 '인성'에 대한 부분도 필요합니다. 특히 어릴 적부터 천재 소리를 듣은 이들은 자신만의 인성을 갖기도 전에 주변의 주목부터 받기 때문에 제대로된 인성을 기를 겨를이 없습니다. 그리고 아침에 본 윤석찬님의 아론에 관한 글의 말미에 나오는 대한민국의 김웅용씨가 말한 'NASA에서는 계산과 예측에서 천재성을 발휘하는 그의 재능만 필요로했다'는 말에서 이들에게 자존감과 사회공동체의식과 같은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오직 그들의 재능만을 빨아먹고 있는 것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인성은 당위성과 함께 제대로 가르쳐줘야 합니다. 나이가 들어서 그런 것을 깨닫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어릴 적부터 천재성이 부각되기 때문에 그런 재능을 소진한 이후에 당위성과 인성을 자각하게 되면 너무 늦습니다. 검찰과 MIT에서 과도하게 그를 옥죄었다는 것이 그의 자살/우울증의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그가 제대로된 인성교육을 받았다면 이번 사건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던 MIT JSTOR의 해킹이 그렇게 쉽게 이뤄지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그의 신념 때문에 정보의 자유로운 공유를 위해서 JSTOR를 해킹했을 개연성은 높았지만, 그래도 당위성에 대한 가르침이 있었다면 그렇게 쉽게/무모하게 행동에 나서지도 않았을테고 제대로된 인성이 갖춰졌다면 그 이후의 사회적 압박/괴로움 그리고 삶을 포기하는 것을 그렇게 쉽게 자행하지는 않았지 않나?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특별한 분야에 적성과 재능을 가졌다지만 천재도 또한 사람입니다. 그에게 천부적인 재능을 강요하는 것에 앞서서, 사람으로써의 자존감을 갖도록 인도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최근 한국 사회의 청소년 문제들을 보면서 우리도 반성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