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 Story

검색의 미래 1. 왜 모바일인가? The Sixth Senses

 아침에 예고했던 제가 생각하는 검색의 미래에 대한 연재를 시작합니다. 첫번째 주제로 모바일기가가 왜 미래 검색에서 중요한가?에 대한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 말하는 바는 비단 검색에 국한된 얘기는 아닙니다. 다른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르를 만들기를 원하시는 분들도 생각해봐야할 주제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검색이란 웹브라우저를 실행해서 검색엔진 (구글, 네이버, 다음 등)에 접속해서, 찾고 싶은 문서들이 포함하고 있을만한 키워드 (또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하면, 검색엔진이 미리 모아뒀던 문서 더미에서 입력된 키워드를 포함한 문서를 찾아서, 적당한 순서로 브라우저에 뿌려주는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로 '입력'입니다. 검색의 시작, 그리고 사용자가 할 수 있는 유일한 행위는 바로 적당한 키워드를 검색창에 입력하는 것입니다. 그 외의 작업들은 모두 검색엔진이나 브라우저가 알아서 처리합니다. 그런데, PC에서는 키보드를 통해서 키워드를 쉽게 입력할 수 있지만, 모바일기기에서는 이 단순한 작업이 그렇게 간단한 작업이 아닙니다. 피쳐폰에서뿐만 아니라, 아이폰과 같은 버츄얼 키보드를 활용하는 경우나, 블랙베리와 같이 qwerty 키보드를 이용하는 경우도 PC에서처럼 쉽게 원하는 검색어를 검색창에 입력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바로, 이 모바일기기가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한계에서 모바일기기의 무한한 가능성이 시작됩니다. 물론, 기존의 피쳐폰보다는 스마트폰에서 그 가능성이 폭발했습니다. 모바일기기가 가지는 입력의 어려움/한계는 키보드가 아닌 다른 입력수단으로 커버가 된다는 점입니다. 그런 다른 입력수단이라는 것이, 인간이 가지지 못한 제6의 감각을 제공해주고 있다는 것도 중요합니다.

 모바일기기가 기존의 키보드라는 표준입력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또는 우연히) 가지게 된 감각/입력수단들을 살펴보면 미래의 검색, 즉 모바일이 중심이 될 검색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뿐만 아니라, 이런 제6감각기관을 잘 활용한 서비스들이 앞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성공으로 이어지리라 확신합니다. 물론 현재 성공한 많은 모바일 서비스/제품들도 잘 살펴보면 이 제6감각을 잘 활용한 것들입니다.  아래의 그림은 11월 4/5일에 울산대 및 포항공대에서 발표한 자료에 포함된 사진입니다. 이 그림에는 모바일기기가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5가지의 감각기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첫번째 감각기관은 바로 '카메라'입니다. 카메라를 통해서 스틸/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받아들입니다. 모바일기기에서 손으로 입력하기 어려운 많은 것들을 카메라를 통해서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풍경 및 인물사진을 찍는 것을 넘어서, 스캐너의 OCR기능을 활용해서 활자를 읽을 수도 있고,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은 특수한 문양들을 해독할 수가 있습니다. 객체인식기술도 날로 발전하기 때문에, 카메라만큼 유용한 입력수단도 없을 것입니다.
  • 두번째 감각기관으로 자이로스코프 Gyroscope와 같은 모션센스입니다. 현재까지는 게임 외에는 모션센스를 활용한 서비스가 거의 전무하지만, 앞으로 게임 이외의 서비스들이 등장할 것입니다. 제스쳐를 이용한 검색은 조금 상상하기는 어렵지만, 여러 모션에 미래 정의된 액션을 결합시키면 모바일 기기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단순히 현재도 아이폰에서 쉐이크를 하면 방금 입력/삭제한 문장들을 undo할 수 있듯이, 특정 앱에서 아래위로 흔들면 특정 기능이 동작한다는 등으로 모션-액션을 정의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 세번째 감각기관으로는 마이크입니다. 단순히 전화 송수신을 위해서 탑재된 기능으로 볼 수 있지만, 보이스 레코딩이나 보이스 검색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손으로 입력할 수는 없지만, 이제 더 편한 말로 입력이 가능합니다.
  • 네번째 감각기관으로는 (멀티) 터치기능입니다. 정교한 터치스크린으로 인해서 버츄얼키보드도 가능하지만, 한문과 같이 복잡한 글자를 일반 키보드에서 입력하는 것보다 더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다섯번째 감각기관은 GPS를 포함한 위치센서입니다. 위치센서 자체로는 입력기능이 부족할 수가 있지만, 나중에 적을 문맥검색 (개인화검색)에서 location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귀중한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PC에서는 특정 IP대역폭과 지역이 매핑되어서 부정확한 위치정보나 개인이 설정한 관심지역으로 한정이 되지만, 모바일 기기에서는 GPS와 3G망정보를 활용하면 수십 또는 수 m 내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Location-based Search의 첨병역할을 합니다.
  • 그 외에도 아래의 그림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아이폰이나 기타 모바일기기에는 다양한 감각기관들이 존재합니다. 자동으로 조도를 조절하는 음영센서, 인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스, 현재 시각정보를 알려주는 시계 등의 다양한 감각기관이 모바일기기들이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껏 PC 환경에서 손 (키보드)를 통해서 모든 정보를 받아들였지만, 이상과 같이 모바일기기에서는 카메라, 모션센서, 마이크/보이스, 터치센서, GPS 등의 위치센서, 음영센서, 거리센서, 시계 등의 제2의 입력기관 또는 제6감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모바일환경에서 이들 입력/감각기관을 통한 검색의 미래를 점쳐볼 수 있습니다. 3 & 4번째 포스팅에서 모바일검색, 즉 미래의 검색에 대해서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모바일기기는 분명 입력수단의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더 다양한 감각기관들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마치, 맹인들이 시각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청각, 후각, 촉각 등의 다른 기관들이 더 발전한 것과 같이, 모바일에서는 키보드를 통합 입력이 제한되어있지만, 이상의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서 더 많은, 더 다양한 정보들을 받아들일 수 있고, 그리고 그런 정보를 활용하여 더 다양한 서비스들을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 혹시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서비스를 준비중이라면, 이런 다양한 센서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더욱 주의깊게 고민해야할 것입니다. 이상에서 소개하지는 못했지만, 더 다양한 센서들이 작은 모바일기기에 탑재될 것이고 그럴수록 우리의 상상력의 범위는 더욱 넓어질 것입니다.

 Limitation is possibilit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