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위터

(37)
트위터러의 권위도 Tweet/Social Authority 회사에서 비밀프로젝트 (?)를 진행중입니다. 대외비라 표현한 이유는 아직 오픈하지 않고, 개발단계이기 때문입니다. 가야할 곳이 아직은 먼데, 그곳에 가기 위해서 중간 단계로 거쳐가는 프로젝트입니다. 물론, 기존의 검색과 지금 베타서비스 중인 실시간검색이 첫 발을 내뒤딘 상태지만... 그리고, 최종목적지는 이전 포스팅들을 읽어보셨던 분이나 실시간검색이 첫걸음이였다는 것에서 충분한 힌트를 얻으셨으리라 봅니다. 그리고, 비밀이라고 표현한 이 프로젝트도 조만간 오픈할거라서 다음에 더 자세한 포스팅을 할 기회가 있을 것같습니다. 그런데, 이번 프로젝트의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개인적으로 같은 데이터를 이용해서 재미있는 분석을 시도해보았습니다. 바로, 트위터러들의 권위도 Authority를 평가해보는 것이었습니다..
트위터에 적응하기 - 팔로잉 트위팅 블로킹 In Tweets, You Are Free. 최근 1년동안의 다른 포스팅에서 트위터에 관한 이야기는 자주했지만, 트위터만을 다룬 포스팅은 한번정도였는 것같습니다. 실제 비공개로 트위터에 관한 2개의 포스팅을 작성중이었지만, 시작은 했지만 마무리를 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글을 시작할 때의 느낌이 벌써 사라졌기 때문에 앞으로 영원히 비공개 포스팅으로 남거나 아니면 다른 이름/주제의 글로 변할 것같습니다. 본 포스팅은 트위터 초보자들이 트위터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될까 싶어서 적습니다. 그런데, 트위터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포스팅은 아닙니다. 초보자들을 위한 포스팅이라고는 하지만, 단순히 제가 트위터를 쓰면서 느낀 제 감정만을 나열할 것같습니다. 그리고, 본 포스팅의 시초 또한 몇달 전에 트윗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전개할 것입니다. 당시에 어떤 트윗이었..
허영 위에 세워진 왕국, 소셜 Social on Vanity 긴 설명이 필요없니 현재 소셜이 대세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했는진 몰라도, 모든 (온라인) 서비스는 소셜로 통하고 있다. 단순히 친목도모를 위함 모임에서부터 소셜검색, 소셜게임, 소셜쇼핑/커멀스, 소셜추천 등등등... 모든 단어에 '문화'를 붙이면 말이 되었는데, 요즘은 모든 서비스에 '소셜'을 붙이기만 하면 되는 것같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난 소셜을 소설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소설, 즉 허구라는 거다. 그런 허구를 지금 '허영'이라고 표현하려고 한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밝히지만, 본 포스팅의 내용은 수능세대라면 모두 이해할 '일반화의 오류'에 빠져있다는 것을 금새 눈치 챌 것이다. 물론 모든/대부분의 이들이 내가 생각하는 그것에 공감을 한다면 내가 그 치명적인 일반화의 오류에 빠지지 않았을 수..
디지털 네이티브를 좀 이해하자. 그리고 IT배타주의도 좀 버리자. Digital Native & IT Chauvinism 어제 실시간 6.2 지방선거는 여로모로 이슈를 양산하고 있습니다. 현 MB정권의 중간심판이니 북풍, 노풍이니 이런 이슈는 제 블로그에서는 별로 중요한 이슈가 아니니 그런 겻가지는 생략하겠습니다. 지난 100년을 되돌아보면 선거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미대선에서 20세기 초에 라디오의 등장으로 루즈벨트가 인기를 얻었고, 20세기 중반에는 TV의 등장과 함께 케네디라는 시대의 스타를 얻었고, 20세기 초에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한국에는 노무현, 미국에는 하워드 딘과 버락 오바마라는 인터넷 정치스타를 만들어냈습니다. 하워드 딘을 제외한 모든 이들이 그 시대의 기술을 잘 이용해서 대통령에까지 올랐습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인터넷의 위력은 대단했는데, 그 중에서도 트위터 등의 실시간공유서비스의 위력이 부각된..
트위터에서 배우는 프리젠테이션 Presentation as Tweets 거의 6~7개월 전에 트위터에 짧게 남겼던 기억을 되살려서, 트위터에서 배우는 몇가지 프리젠테이션 팁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프리젠테이션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1.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준비하는 것과 2. 실제 청중들 앞에서 발표를 하는 것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물론,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더 많은 단계나 구분이 필요하겠지만, 보통 프리젠테이션이라 하면 준비과정이나 발표과정을 뜻할 것입니다. 아래에서는 따로 구분해서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 KISS (Keep It Short & Simple). 발표자료를 준비하고 또 발표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칙이 바로 KISS일 것이고, 프리젠테이션 관련 책들에서 공통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최근에 뉴욕타임스에 소개된 'We Have ..
플랫폼과 에코시스템 (생태계) Platform vs EcoSystem 예전부터 플랫폼과 에코시스템에 대한 많은 생각을 했지만, 이 둘을 함께 비교하는 글을 적어야겠다는 생각이 어제밤에 들었습니다. IT/인터넷 회사들만을 국한해서 봤을 때도 많은 기업들이 웹 플랫폼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들 중에는 자생적인 에코시스템을 만든 기업들이 많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대부분 플랫폼 정도에 거치고 있지만, 외국의 사례를 보면 페이스북 facebook과 트위터 Twitter가 대표적인 에코시스템을 만든 회사로 보입니다. 그래서, 이 글을 적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아침에 트위터가 트위티 Tweetie를 만든 Atebits라는 회사를 인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맥과 아이폰에서 트위티를 주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트위티가 무료로 배포된다면 더할나..
구글과 MS와 애플과 야후 이건 마치 윤동주님의 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보는 듯한 제목이지만, 뉴욕타임스 블로그에 'A Big-Picture Look at Google, Microsoft, Apple and Yahoo'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왼쪽 테이블참조, 클릭해서 보세요.) 오래 전부터 '구글 vs MS vs 애플'이라는 글을 적으려고 했지만, Nick Bilton이 친히 야후의 사업영역까지 포함해서 비교해준 테이블을 만들어주시니 그냥 보기만 할 따름이다. 최근에 가장 매치업되는 기사가'구글 vs 애플'이지만 오랫동안 '구글 vs MS' 'MS vs 애플' '구글 vs 야후' 등의 기사를 보아왔다. (최근 비즈니스위크의 모바일에서의 '애플 vs 구글'기사, SFGate의 '구글 vs 애플' 또는 '구글 vs M..
현대는 정보과잉/홍수 Information Overabundance의 시대가 아니라, 컨트롤부재 Control Absence의 시대다. 최근에 주변에서 많이 듣는 소리 중에 하나가 읽고 관리해야할 기사/포스팅들이 너무 많다는 불평들이다. 본인도 트위터를 본격적으로 사용하면서부터 테크뉴스를 중심으로 100개가 넘는 외국의 주요 언론사들의 기사트윗들을 필터링해서, 흥미로운 제목의 기사들을 읽고 리트윗을 통해서 또 전파/공유하는 일을 매일 빠짐없이 하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1000명 가까운 팔로잉에서 쏟아지는 다양한 인생사에 관한 트윗들도 여건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읽어나가고 있다. 그 외에도 이전부터 소비하던 포털뉴스나 다음뷰 등의 메타블로그 등 다양한 뉴스/정보채널에서 전달되는 정보/소식들을 틈틈이 읽고 검토한다. 이렇게 수동적으로 전달되는 정보에 더해서 다양한 검색을 통해서 정보를 찾는 작업이나 아니면 업무 등을 이유로 전달되는 다..